중심극한정리(Central Limit Theorem)는 통계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. 이번 시간에는 중심극한 정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중심극한정리란?
중심극한정리는 독립적인 확률 변수들의 합 또는 평균이 정규분포에 근사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.
독립적인 n개의 확률 변수 X1, X2,..., Xn이 있을 때, 각각의 확률 변수는 같은 분포를 가지고 있으며, 평균 μ와 표준편차 σ를 가진다고 가정합니다. 이때, 이 n개의 확률 변수들의 합 또는 평균은 n이 충분히 크다면 정규분포에 근사한다는 것을 말합니다.
중심극한정리는 실제로 많은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동일한 분포를 가진 독립적인 확률 변수들의 평균이나 합을 계산할 때, 이 정리를 사용하여 정규분포를 근사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통계적 추론이나 가설 검정 등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2. 중심극한정리는 왜 필요한가?
- 대표성 확보 : 중심극한정리를 통해 충분한 크기의 표본을 사용하면, 표본의 평균이나 합은 모집단의 평균이나 합을 대표하는 값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작은 표본으로부터 모집단에 대한 대표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
- 정규분포 가정 : 중심극한정리에 따르면, 독립적인 확률 변수들의 합 또는 평균은 정규분포에 근사한다고 설명되고 있습니다. 정규분포는 많은 통계 분석에서 가정으로 사용되며, 중심극한정리를 통해 실제 데이터가 어떤 분포를 따르더라도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있게 됩니다.
- 통계적 추론 : 중심극한정리를 사용하면 작은 표본으로부터 모집단에 대한 통계적인 추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표본 평균을 사용하여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하거나, 가설 검정을 수행할 때 중심극한정리를 활용하여 정규분포를 기반으로 한 통계적 추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3. 중심극한정리 예시
예를 들어, 한 학급의 학생들의 키를 조사하고자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. 이 학급의 학생들의 키는 독립적인 확률 변수로 볼 수 있습니다. 각 학생의 키는 동일한 분포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,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고자 합니다.
이 연구에서 30명의 학생들의 키를 측정하여 평균 키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중심극한정리에 따르면, 충분한 크기의 표본을 사용하면 이 학생들의 평균 키는 정규분포에 근사할 것입니다.
즉, 학급 전체 학생들의 키의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수도 있지만, 충분한 크기의 표본을 사용하여 그 표본의 평균을 계산하면 이 평균값들의 분포는 정규분포에 가까워질 것입니다. 이것이 중심극한정리의 핵심 개념입니다.
'통계학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계적 실험계획법(2)-블록설계 (0) | 2023.12.16 |
---|---|
통계적 실험계획법(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) (1) - 직교배열 (0) | 2023.12.14 |
베이즈 추정값, 사전확률, 가능도함수 (0) | 2023.12.12 |
정규성을 확인하는 여러가지 방법 (1) | 2023.12.11 |
기술통계(3)-왜도와 첨도, 변량의 표준화 (0) | 2023.11.20 |